추석 연휴는 가족들과 함께하는 소중한 시간입니다. 하지만 갑작스러운 복통이나 감기, 혹은 아이가 다치는 상황처럼 예상치 못한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럴 때 가장 필요한 건 바로 문을 여는 병원과 약국을 빠르게 찾는 것이죠. 이번 글에서는 추석 연휴 기간에도 이용할 수 있는 병원·약국 찾는 방법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📌 추석 연휴 문 여는 병원 찾는 3가지 방법
1) 보건복지부 운영 응급의료포털 E-Gen 이용
- 메뉴에서 ‘병원·약국 찾기’ 선택
- 지역과 원하는 진료과목을 선택하면 연휴 운영 여부 확인 가능
- 스마트폰에서는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으로도 동일하게 이용 가능
👉 특히 지도 기반 검색이 가능해서 현재 위치 근처의 운영 병원·약국을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.
2) 네이버·카카오 지도 검색
많은 분들이 가장 편하게 이용하는 방법은 네이버 지도나 카카오 지도입니다.
- 검색창에 ‘추석 연휴 병원’, ‘추석 약국’ 입력
- ‘영업 중’ 필터 적용 → 실제 문 연 곳만 확인 가능
- 병원 후기, 전화번호, 위치도 바로 확인 가능
👉 단, 간혹 운영 시간 업데이트가 안 된 곳도 있으니 전화 확인은 필수입니다.
3) 지역 보건소 안내
각 지역 보건소에서도 추석 연휴 당번 병원·약국 현황을 제공합니다.
- 보건소 홈페이지 공지사항 확인
- 대표번호로 전화하면 당번 병원·약국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.
👉 특히 시·군·구청 홈페이지나 SNS에도 연휴 기간 이용 가능한 병원 목록이 게시되니 참고하면 좋습니다.
2. 아이가 아플 때는 ‘소아과 당번 병원’ 확인
추석 연휴에는 소아과가 문을 닫는 경우가 많습니다.
- 응급의료포털에서 소아청소년과로 필터 검색
- 119 또는 보건소를 통해 당번 소아과 확인
- 약국까지 함께 운영되는지 체크하면 더욱 편리
3. 추석 연휴 문 여는 약국
- E-Gen 포털 👉 '약국' 선택 후 지역 검색
- 대한약사회 사이버약국 👉 '휴일지킴이 약국' 메뉴 선택
- 야간·심야 약국 정보도 확인할 수 있으니 놓치지말고 체크하세요!
4. 추석 연휴 응급실 운영 현황
법적으로 지정된 응급의료기관(권역·지역·전문 응급의료센터, 응급실 운영 병원)은 연중무휴 24시간 진료를 유지합니다.
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, 전국 약 400여 개 응급실이 추석 연휴에도 그대로 운영됩니다.
대신 경증 환자는 응급실보다는 연휴 당번 병원·약국을 이용하는 게 현명해요.
추석 연휴는 모두에게 즐겁고 편안해야 하지만, 건강 문제는 언제든 찾아올 수 있습니다.
미리 응급의료포털, 119, 지도 앱, 보건소 연락처를 알아두면 혹시 모를 상황에도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.
👉 이번 추석, 가족의 건강까지 챙기며 안전하고 따뜻한 명절 보내시길 바랍니다.